한국사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달 /이황/이이/과학기술/미술/음악/4대사화/환국

경제적인 자유를 꿈꾸는이 2020. 11. 1. 22:28
반응형

이황과 이이의 철학비교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달
조선의 성리학: 인간의 심성을 성찰하는 이기론(理氣論)을 중심으로 발달.

① 서경덕 : 기(氣) 중심으로 인간과 세상을 이해 (기일 원원) 불교 및 노장사상 (화담 서경덕)
② 조식 : 학문의 실천성을 강조하면서 노장사상에 포용적이었다.-도가사상 (남명 조식)
            敬 義  (경의) 를 강조
③ 이언적 : 기보다는 ‘이’를 중심으로 이론을 전개 주리론 시작/성학 군주론 제시


④ 이황(주리론 완성)
㉠ 주자의 학설을 조선의 현실에 맞게 체계화하였으며,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등 저술
 이기이원론  *이가 중요 이기호 발설-운동성
㉡ 도덕적 행위의 근거로 인간 심성을 중시하고 신분 질서 유지에 기여
㉢ 일본 성리학에 영향(‘동방의 주자’로 불림)을 주었으며 근본적·이상주의적 성격으로 평가
㉣ 기대승과 사단 칠정 논쟁
㉤ 예안향약을 실시하고 도산서원을 건립
㉥ 이황의 사상은 김성일, 유성룡 등에게 이어져 영남학파가 형성.


⑤ 이이(주기론 완성)
㉠ ‘이’와 ‘기’를 통일적으로 이해하면서 현실 세계를 구성하는 ‘기’를 중시
㉡ ‘동호문답’(대공수미법), ‘만언봉사’(10만 양병설), ‘성학집요’ 등을 저술
㉢ 해주향약과 서원향약을 실시
㉣ 현실적·개혁적 성격의 사상은 조헌과 김장생 등으로 이어져 기호학파를 형성


이언적: 성학군주론 억불: 태조 도첩제(허가제) 
성종: 도첩제 폐지:승려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음)

도교:  소격서 설치/초제 시행
풍수지리설: 도참사상:  산송 전쟁
⑥ 김장생 : 예학을 정리하여, 상장 제례의식을 성리학적으로 체계화-가례집람 

과학기술: 천문학  혼의 간의- 천체관측/자격루-물시계 세종)  앙부일구(해시계 세종)
고구려 천문도 바탕( 천상열차분야 지도-태조) 농업 측우기(강우량 측정/세종) 인지의 규형(토지측량-세조)
역법: 서울 기준 독자적 (중국의 수시력과 아라비아 회 회력 참고: 칠정산  내편/외편) 세종 시기 1444
향약집성방 1433 향약제생집성방을 증보- 우리 풍토에 맞는 약재와 치료방법
의방유취 1445 의학 백과사전(당송 원명의 중국의서와 국내의 서 153종을 망라 편찬)


태종-주자소 금속활자를 제조  계미자 주조
세종:  갑인자와 병 진자 주조
밀랍 대신 식자판을 조립-인쇄 능률 두배
제지술: 태종 조지소   -->> 조지서(세조)


음악 세종: 정간보  여민락
      성종: 악학궤범 (성현)


미술 15세기- 몽유도원도(안견)  강희안(고사 관수도)
       16세기- 송하 보월도-이상좌 / 초충도(신사임당)
       3절  황 집중-포도  이정은 대나무  어몽룡은  매화

병서 편찬

문종 시기  동국병 감(김병서)   
최해산 화차와 신기전(화살)
태종 시기 거북선 제작  왜국 격퇴-비거도선(소형 전투용 배)


문학
성종-서거정(동문선)  우리의 시와 산문의 정리(우리나라의 글)
민족 자주성

 

건축 외
15세기 건축 세조-원각사 10층 석탑
16세기 건축:  도산서원/옥산서원
15- 분청사기(청자에 백토의 분을 칠함)
16- 백자:  담 뱅 순백의 고상함 선비의 취향


역사서
초 기      ‘고려국사’(정도전), ‘동국사략’(권근) : 왕조 개창의 정당화 목적
15세기    중엽 ‘고려사’(기전체), ‘고려사절요’(편년체) : 고려 시대 역사의 자주적 정리 노력
15세기    말 ‘동국통감’(성종) : 단군 조선부터 고려까지의 역사 서술
16세기    ‘기자 실기’(이이), ‘동국사략’(박상) : 단군보다 기자를 높이 평가

 

사화(士禍)의 발생과 붕당의 형성 (사림의 피해)
 
성종 --->> 훈구 세력 견제를 위해 사림을 중용함→3사의 언관적(임금에게 간언하는 
일을 담당하는 직책) 차지(훈구 세력 비리 비판)
연산군--->>무오사화 :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사초에 기록한 것이 계기가 됨
                갑자사화 :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 씨 사사 사건이 계기가 됨
중종--->>   기묘사화 : 조광조의 급진적인 개혁(현량과 실시, 위훈 삭제, 소격서 폐지)
에 훈구 세력이 반발하여 발생함
명종--->>   을사사화 : 외척(대윤, 소윤)의 권력 다툼이 계기가 됨
선조 사림의 정국 주도→이조 전랑직의 문제로 동인과 서인으로 분열(붕당의 형성)


숙종

환국정치    

1)경신환국- 남인견제(서인등용
2)기사환국: 서인(노론)견제 남인계열(장희빈)승 
3)갑술환국(인현왕후복위  서인복귀) 장희빈사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