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개화운동과 위정척사운동/임오군란/갑신정변

경제적인 자유를 꿈꾸는이 2020. 11. 22. 14:19
반응형

개화운동과 위정척사 운동/임오군란/갑신정변

 

1873 고종의 친정 민 씨 정권
통상 개화론자 성장
최한기 : 인정  지구전요 등 "명남루 총서"
오경석 : 해국 도지 영환 지략 소개

 

강화도조약 배경:
1875- 왜 메이지 유신/ 정한론
운요호 사건 -> 조선에 문호 개방을 강요

1876 강화도조약  = 조일 수호 조규 / 신헌- 구로다
최초의 근대적 조약/불평등 조약


1관 - 조선국은 자주국이며 일본국과 평등할 권리-청의 간섭 배제
4관 - 부산 1876  원산 1880 인천 1883개 항
7관 - 해양 측량권 불평등
10관 -  치외법권 불평등

1876 강화도조약의 부록
조일 수호 조규 
간행 이정 10리
개항장- 일본 화폐사용
조일 무역규칙  1876
무관세- 일본 수입  무항세- 일본 선박 항구 비용 무
양곡의 무제한 수출
조일 무역규칙 개정  1883=조일 통상 장정
관세 부과
최혜국대우 
방곡령:  선포 전 1개월 전에  일본에 통보
조선의 식량사정에 따라 반출을 막을 수 있는 권리

1882 조미 수호통상 장정   -------.------>>> 배경: 조선책략(황쭌센) 유포
거중조정(위기시 서로 돕는다) 2차 수신사 김홍집
최혜국대우 조항- 최초 친 중국 결 일본 연 미국 하여 반 러시아(조선의 독립)
치외법권
관세 자주권 


1884 조러 통상조약


1886 조프(불) 통상조약+천주교 문제(평등) 천주교 신앙 포교의 자유 확보


개화운동

일본 외교 사절단- 수신사
1876 1차 수신사 김기수  "  일동 기유"
1880 2차 수신사 김홍집  " 조선책략"
       문화사절단
1881 조사 시찰단- 신사 유람단  : 박정양 어윤중 홍영식
       4월 안종수- 서양 근대 농학 (농정 신편) 1885
1881.9 영선사- 청 김윤식 - 기기창(최초의 근대적 무기)
       이홍장의 권유  무기 제조법 군사 훈련 외국어
1883 보빙사 민영익 홍영식 서광범 유길준- 최초
       우편제도-우정국 설치 건의 채택


개혁기구의 설치
1880 통리기무아문
군제 개편 5 군영->>무위영/장어영 /별기군 1881 신식
                         구식군대의 차별-->>임오군란 원인

위정척사 운동-바른 것을 지키고 그 외는 배척 
1860 통상 반대 운동 기정진 이항로(화서)
1870 개항 반대 최익현의 도끼 상소
       최익현 5 불가 소: 왜양일체론
1880 개화 반대운동 이만손-영남 만인소
                          홍재학 만언책사소
1890 항일 의병운동

1882 임오군란
구식군대+서울의 하층민 참여
청에 의해 진압- 민 씨가 끌어들임
 - 흥선대원군 청에 끌려감
결과: 조일( 제물포 조약)
       일본에 50만 원 배상  경비병 주둔
       병력 주둔비용 부담/ 상인 사방 50리
일 사절단 파견: 3차 수신사 박영효
박영효: 태극기 처음 사용됨

1882
조청 상민 수류 무역 장정
청상인의 내지 통상권
양화진에서 상점을 열어 무역 허락
청의 추천 묄렌도르프 고문

개화파

온건 개화파 민영익 어윤중 민승호 민긍호 조영하
사대당 김홍집 김윤식 -친청/민 씨 정권 결탁
점진적 개혁 청의 양무운동(중체서용)을 본받아
온건 개화파의 동도서기론

급진 개화파 반청세력 / 메이지유신 모델
개화당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재필 서광범
일본으로부터 차관도입 실패

1884 갑신정변의 배경: 
1883 당오전 발행( 상평통보 5배) 고액
       묄렌도르프의 건의(당오전)
1884 갑신정변
청의 베트남으로 일부 철수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계기 거사
갑신정변 결과:  

한성조약(공사관 신축 비용 부담)
소실된 일본공사관 신축비용
텐진 조약:1885.3/ 청일 조약
청일 양군은 조선에서 철병 
조선 파병 시 문서로 알린다- 일본은 청과 동등한 조선에 파병권 확보
유길준 한반도 중립화론

혁신 정강 14조
인민 평등권/지조 법 개혁
혜상공국 혁파 1883 보부상 조직  폐지
재정- 호조 관할
대신과 참찬 의정부 모여 정령 의결 반포
 ---->>> 입헌군주제 지향
3일 천하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서광범 일본 망명
청군 개입  홍영식은 사형

1885 거문도사건 영국의 불법 점령/해밀턴항
1887 거문도사건 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