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동학농민운동 1894 갑오농민전쟁/갑오개혁/을미개혁/아관파천

경제적인 자유를 꿈꾸는이 2020. 11. 22. 15:14
반응형

동학농민운동 1894 갑오농민전쟁/갑오개혁/을미개혁/아관파천

 

동학농민운동   1894   갑오농민전쟁
원인: 교조 신원 운동
삼례 집회 최제우의 신원회복 요청:   거부
특성 - 포접제
삼례집회 복합 상소운동 - 보은집회(정치)-  제폭구민 척왜 양창의 등 구호
            보은집회: 북접주도
            금구취회-: 전라도 (남접)


전개

고부민란 조병갑  만석보  백성 동원  수세 강제징수
제1기 전봉준:  사발통문- 고부민란
                   관아 습격  군수 내쫓고 자진해산
                   안핵사: 이용태  동학농민군 탄압
1894.3

제2기 고부재점령  
백산집결 5000여 명
농민군승 황토현전투  황룡천 전투에서 승리
전주성 전라감영 ----- 정부는 청에원병요청  텐진 조약의 명분  일본도 출병
       -: 정부는 전주 화약체결
제3기 집강소-폐정개혁안 12조 집강소: 치안유지 행정 탐관오리 응징  잔반이나 향리가 임용
노비문서 소각 /  토지는 평균 분작 반봉건적
왜와 통하는 자 엄징한다 반왜세
이후 해산
제4기 텐진 조약으로 일본군 출병- 철병 요청  무시 경복궁을 점령 내정간섭
1894.6.23 청일전쟁 군국기무처 -  제1차 갑오개혁
위의 원인으로 재봉기   남접+북접 논산 집결 공주-우금치 전투 vs(관군 일본군 민보군) 패배
민보군( 양반 지주 토호들이 농민군에 맞서기 위해 조직) 
의의:  농민전쟁 형태  반봉건 반외세
한계:  농민층을 제외한 다른 계층의 지지기반을 확보하지 못함

군국기무처 설치- 일본 1392~  503년(개국한 지 503년 해)


1차 갑오개혁 1894 - 을미개혁 1895
대원군 섭정  김홍집 친일내각
1. 개국 503년
2. 왕실 사무: 궁내부 / 정부사무- 의정부 분리
3. 6조- 8아문으로 개편  (탁지아문- 재정)
4. 과거제 폐지
5. 신분제/봉건적 악습/ 폐지
6. 은본위 화폐제
7. 조세의 금납화 / 도량형 통일


2차 갑오개혁 배경:  일본의 청일전쟁 승기 - 내정간섭의 본격화
1894.12  박영효(내무 서광 법(법무) 입각
2차 김홍집 연립내각
홍범 14조
최초 근대적 헌법
8 아문--->>7부   (예외) 농상무아문과 공무아문-> 농상공부)
탁지부- 재정
8도->>23부로 개편
사법권의 독립   
1895-  고종의 교육입국 조서 발표 1895 한성 사범학교
시모노세키 조약- 일의 승리로  청의 요동반도 할양-1895  -->> 삼국간섭(러시아 프랑스 독일)
일본은  요동반도를 다시 돌려줌
명성황후- 친러 내각 (제3차 김홍집 내각) 을미사변-명성왕후 시해


을미개혁 1895

일본의 간섭
태양력 사용 
소학 교령
우편사무 개시- 우체사
단발령 신체발부는 수지부모(성리학자)-유생들 반발
연호- 건양
친위대-서울 진위대-지방
평가: 갑오 세력과 동학 농민층의 요구를 반영한 근대적 개혁- 일제의 침략 의도가 반영된 개혁이었으며 민중의 지지를 얻지 못함
친러 내각
1896 김홍집- 민중들에 의해 사망

23부와 지방제도--->>한성부와 13도 개편


1896   아관파천 이후  러시아등.. 서양세력의 이권 침탈 강화
서재필 독립신문 창간 먼저 창간되고 독립협회 설립
독립협회 1896-1898  해산
독립문- 영은문
독립관- 모화관
만민공동회- 최초의 근대적 민중집회   (개화 세력과 민중의 결합) 위와 아래
한러 은행 폐쇄
러시아의 절영도조차 요구를 좌절시킴(부산의 영도 저탄소 설치)
관민공동회 개최->>헌의 6조 외국과 이권 계약은 대신과 중추원 의장이 합동 날인
백정 박성춘의 연설 1898.10
입헌군주제 중추원 신관제 (근대식 의회 설립운동)
보수파는 독립 협회가 공화정을 추진한다고 모함---- 황국협회와 군대 동원 강제해산
의의:  자주 국권 자강 개혁 자유민권운동

이권 침탈-  아관파천 이후 
1897 고종  ->> 경운궁으로 환궁 (현 덕수궁)
대한제국 설립   칭제건원   연호 : 광무
고종  황제 즉위- 원구단(환구단)
대한제국 선포
대한국 국제 반포-1899    
전제 황권 강화를 표방
친위대와 시위대
광무개혁- 구본 신참 점진적 개혁
의의:  위로부터의 개혁  근대 개혁-자주  열강의 간섭 배제 못하고 국민적 결속 x

광무개혁
재정의 상당 부분 궁내부 내장원으로 옮김
내장원- 황실 자금
양전 지계 발급- 양지아문  근대적 토지 지세
토지조사- 소유권 문서 지계 발급 (공문서)
지계는 근대적 토지소유권 문서
금본위제
양잠
1899- 한청 통상조약 (대등한 광계)


을미의병 1895
계기:  을미사변/단발령
명분:  존왕양이
의병장:  유인석 이소응


을미의병 이후

1900 활빈당:  남한 반봉건 반외세  
활빈당 강령:  대한 사민 논설 13조에서 확인 가능


1905 을사늑약-을사 의병
을사의병 민종식, 최익현 , 신돌석 - 평민 의병장 대두
최익현 5 불가 소/계유 상소 쓰시마 유배 순국(대마도)
관병이 내려와 자진 체포


1907 군대해산
       정미의병
       13도 창의군


1908 서울 진공작전- 허위 - 동대문 근처  (실패)
1909 남한대 토벌작전- 전라도~의병 세력을 토벌-일제
       의병세력 위축   --->>만주, 연해주로 이주 항일 무장 독립 군화
1909 안중근 의사의 의거 --->> 이토 히로부미의 사살  
1910 뤼순(여순) 감옥에서 순국
1909 이재명---->> 친일 매국노 이완용 제거 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