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45.8.15 해방/조선건국 준비 위원회/남북협상/김구- 삼천만 동포에게 읍고

경제적인 자유를 꿈꾸는이 2020. 11. 29. 13:13
반응형

45.8.15 해방
1943.12 카이로 회담 미영중  정상    루스벨트 처칠 장제스
       한국의 독립 최초 결의
1945.2 얄타회담 소련의 대일참전  북:소  남:미국  38
       미국의 루즈벨트 신탁통치 제안
1945.7 포츠담선언 한국 독립 재확인


해방 이전
1941.11 조소앙의 삼균주의 대한민국 건국 강령
       한국광복군 결성  1940  충칭(중경)
1942 조선 독립 동맹-화북 사회주의 계열
       조선의용군
1944 조선 건국 동맹/국내
      중도 좌 여운형 -사회주의 /중도우 안재홍-민족  


45.8.15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좌우익 합작형태
45.9.6 조선 인민 공화국으로 개편(미군 정전)
        이승만 - 주석(부재-미국)  여운형 부주석
        박헌영 중심 - 조선공산당 좌익정부
459.9 조선 인민 공화국 부정
        한국 민주당(한민당/김성수 송진)
        과거 식민지 경찰 지주 (친일파 다수 포함)
45.10월 이승만 개인자격 귀국
       이승만-독립 촉성 중앙협의회
       김구- 개인자격으로 귀국


45.12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미영소
미소공동위원회+여러 정당 단체와 협의
목표: 민주정 임정
한국의 임시 민주정부 5년  미영 중소 신탁 결정
반탁운동 좌우 ---->> (박헌영이 북한 김일성과 협의 신탁통치 찬성)
박헌영 중심 좌익세력 찬탁으로 선회
45.12.28 김구- 반탁 (탁치반대 국민 총동원위원회)

46.3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2차 47.5
      소련-신탁통치 찬성(좌익)만 협의대상
      미국- 찬탁 반탁 우익 모두 참여
      협의대상 합의안 되어 결렬 5월
46.6.3 이승만 정읍 발언(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 공식 주장)
46.7 중도파 좌우합작 위원회 결성 중도우파:  김규식 안재홍/좌익: 여운형
46.1 좌우합작 7원칙(좌우익 모두 반대)  


47 미소 냉전시기
47.5월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결렬
47.7 여운형 암살
47.9 미국은 한국문제를 un에 인계
47.11 유엔은 인구 비례에 따른  총선거 결의(남. 북)
48.1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 파견


소련의 반대(북한에서 거절)
48.2.10 김구- 삼천만 동포에게 읍 고함
48.2.25 유엔- 남한만의 단독선거 결정
48.4 김구와 김규식은 강력 반대- 북한 측
      남북협상 김일성과 회담(조소 항도 참여) 김두봉
      실패 - 외국군대 철군(내전 안 한다는 합의)
48.5.10 제헌의회 선거 2년 기한  국회
7.17 제헌절(헌법 공포)  정부통령제  간접선거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시영  대법원장 김병로  국회의장: 신익희
임기 4년
48.8.15 대한민국 정부 수립
48.9.9 북한 정권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