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방민족 거란과의 관계 /여진/몽골/원간섭기/공민왕
북방민족 거란과의 관계 /여진/몽골/원간섭기/공민왕
북방민족 거란과의 관계
침입 ⑴ 제1차 침입(성종 12년, 993) 10-11세기
초기 ① 전개 : 거란의 소손녕이 군사를 이끌고 침입--> 서희의 외교담판 거란 군대물러남
② 결과 : 강동 6주를 획득->압록강까지 영토를 확대.
⑵ 제2차 침입(현종 1년, 1010)
① 배경 : 강조의 정변을 빌미-> 거란의 성종 침입
② 전개 : 양규가 거란의 후방을 압박->현종이 거란의 황제를 만날 것을 약속->거란은 회군
⑶ 제3차 침입(현종 9년, 1018)
① 배경 : 현종이 거란 방문과 강동 6주 반환을 거부-> 거란 장수 소배압이 침입.
② 전개 : 강감찬이 귀주에서 거란군물리침(귀주대첩).
③ 결과
㉠ 거란의 세 차례 침략을 물리친 후 동아시아는 고려·송·거란(요) 사이에 세력 균형
㉡ 고려는 북방 민족의 침략-->> 천리장성을 쌓고 개경에 나성을 축조 수비강화
중기 여진과의 관계
12세기 ⑴ 배경
12세기 초 여진이 부족을 통일--> 국경을 자주 침범
⑵ 윤관의 여진 정벌
① 윤관의 건의로 숙종 때 별무반을 조직---->> 특수군조직
② 윤관은 여진을 정벌하고(예종 2년, 1107), 동북 9성을 개척
⑶ 동북 9성 반환
동북 9성의 수비가 어렵고 여진이 조공을 약속 9성의 반환을 요청-->>1년 만에반환
⑷ 금(金)의 건국(아골타, 1115)
여진이 세운 금이 거란(요)과 북송을 멸망시키고 고려에 군신 관계를 요구-->> 이자겸이 주도 사대관계 체결
몽골
1219 강동의 역: 여진에 세운 금나라(요-거란)을 지배 몽골이 금나라를 공격(거란일파- 고려의 강동성에 농성)
강동의 역: 여몽연합하여 거란족소탕(몽골은 자신들이 은인이라고 주장-공물요구하였으나 고려는거절)
1차침입 1231원인: 몽골사신 저고여피살 1225 살리타 침입 박서의 저항(귀주)-우회하여 개경을포위 강화맺음-다루가치설치
몽골의 무리한요구 다루가치횡포가 심함 -->> 최우는 강화도 천도 1232
2차침입 1232 김윤후 처인성전투 살리타사살 대구부인사의 초조대장경과 속장경 소실
3차침입 1235 황룡사 9층목탑및 장육존상 등 소실
5차침입 1253 김윤후가 충주성에서 몽골군을 물리침
원종 1270 개경환도령
다루가치-감찰관 내정간섭
결혼도감/공녀징발 해동청-매 응방설치
권력의 이익대변
이문소: 여원과 관련 범죄단속
만호부-국방간섭
몽골의 일본원정
1.2차 실패(고려 수군 동원)
2차원정 일본원정정벌- 태풍으로 실패 정동행성- 내정간섭기구(원-고려)
1258년 동녕부 탐라총관부설치 충렬왕시기 동녕부 탐라총관부 돌려줌 쌍성총관부는 공민왕시기 무력수복
원갑섭기의 왕 충렬왕-제국대장공주
충선왕- 정방일시폐지(최우가 세움)인사권
한림원-사림원(개혁중심기구)
소금의 전매제-(왕권강화)-국가독점판매 각염법
상왕- 원수도 만권당설치-원유학자-조맹부/고려유학자-이제현의 교류
충숙왕- 찰리변위도감
충목왕- 정치도감
공민왕-노국대장공주
공민왕-1351-1374 (중국의 원명교체기)
반원자주- 정방폐지/친원세력숙청
정동행성/이문소폐지,/무력으로 쌍성총관부 수복
이성계의 나하추(원)격퇴
홍건적의 침략 2차시기 복주피신-공민왕
1차: 이방실 이승경이 물리침
2차: 이방실 정세운 안우 최영 이성계격퇴함
흥왕사의 변(김용-친원)이 공민왕시해시도
공민왕시기- 신돈등용-전민변정도감-특정목적
불법탈취된토지와 불법노비를 환원
1374 친원세력에의해 살해 (노국공주사후 힘듦)
정치적동력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