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정권기 1170 경인년~1270 개경환도~고려말/신진사대부
무신정권기 1170 경인년~1270 개경 환도~고려말/신진 사 대부
무신정변의 흐름 중방: 무신 회의기구 (상장군 대장군) 참여
이고-> 이의방 ->정중부(중방)
경대승 (도방) 사병집단-도방 중심
경대승의 병사-> 이의민(중방) 노비
최충헌(무신정권의 안정화)
4대 60여 년 교정도감-권력기구
도방 부활
최우 정방(인사권)
최고 전성기 서방(문신 등용) 정치자문
1231 몽골 침략 1232강 화천도-
1270 원종의 개경 환도령
무신정권 시기 하층민의 봉기
① 망이·망소이의 난(1176) 공주 명학소- 충순현으로 승격
② 전주 관노의 난(1182)
③ 김사미·효심의 난(1193) : 신라 부흥운동 표방
④ 만적의 난(1198) : 신분 해방적 성격(최충헌의 노비)
⑤ 최광수의 난(1217) : 고구려 부흥 표방
⑥ 이 연년의 난(1237) : 백제 부흥 표방
反 무신정권 (계사년-김보당의 난)
1. 김보당의 난 1173 -의종 복위 실패
2. 조위총의 난 1174 - 서경 유수
몽골 삼별초의 대몽항쟁(1270~1273) 원종의 개경 환도령- 몽골 간섭기
① 삼별초는 최우의 사병 집단인 야별초가 좌 별초와 우 별초로 분리
몽골군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돌아온 자들로 신의군을 조직 편성된 부대임
② 배중손의 주도로 강화도에서 반기를 들고 대몽항쟁 승화 후 온(왕 온) 옹립
③ 이후 배중손의 주도하에 근거지를 진도로 옮기며 저항(용장성). 진도에서 배중손이
진도에서 배중손 전사하였고, 김통정이 나머지 세력을 이끌고 제주도로 이동하여 항쟁
여몽연합군에 의해 3년 만에 진압--->>탐라 총 관부 설치 1273
삼별초( 야별초->>좌 별초, 우 별초 )
포로에서 돌아온 사람( 신의군) 강화도(배중손)
진도(배중손 전사) 김통정->> 제주도 항전 (여몽연합군)
몽골(원) 원 간섭기 왕사후 忠.. 왕
2성 6부 -->> 원 간섭기 1부(첨의부) 4사(도평 의사사)(도당)이라고 불림
중추원(왕명 출납).--> 밀직사 권문세족의 권력기구(첨의부, 도평 의사사, 밀직사)
원명 교체기 공민왕의 반원 자주 정책 14세기 중

신진사대부
1. 향리 출신 다수
2. 과거- 중앙관료 진출-중소지주
3. 성리학 수용/불교 비판
4. 친명 세력
원 내정간섭 기구
2차례 일본 정벌: 정동행성
태풍으로 인해 실패
정동행성의 세부 기관 중의 하나
이문소- 반원 세력 감시 체포 암살 기구
쌍성 총 관부 무력 수복-공민왕

1377 화통도감(최무선 나세)
신흥 무인 세력 최영-> 이성계
최고 권력자-이인임(친원) 최영과 이성계 연합으로 제거
최영: 명에서 철령위 설치 통보->>명과 대립 요동정벌 추진
이성계 4 불가론( 출병-> 위화도 회군) 최영 제거
우왕 폐위 - 창왕 옹립 - 폐위 왕 옹립 후 양위 받음- 조선 이성계
오랑캐의 침략
친원 우왕 왜구의 침략-최영-홍산대첩
이성계:황산대첩 최무선: 진포대첩 정지: 관음포 대첩 박위(창왕 시기): 쓰시마 정벌
1388 위화도 회군(이성계) 창왕 옹립 공양왕 1392 조선왕조 건국
신진사대부
온건파 이색 정몽주-고려왕조 존속 점진개혁
급진파 정도전 조준- 새 왕조 개창 급진개혁 +신흥 무인 이성계-결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