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사림의 분열 동인/서인/임진왜란/남인,북인,광해군

반응형

 

 

중종 정식 왕후의 아들(인종) 
명종 정식왕후의 아들 
후궁 덕흥군의 셋째 아들  - 왕권 강화하기 위해  훈구세력을 밀어내고  사림들을 등용 (선조) 


조선붕당정치

사림 정권   
선조-> 동인승 북인 
                  남인 
광해군-> 북인승 (대북, 소북)  
인조 -> 서 인승
효종 -> 서 인승
현종->서인승

1차 예송논쟁: 기해:자의대비 조 씨의 상복 기예 예송 -1년 설(서인)  남인은 차남이니 3년 상복 주장
남인승

2차 예송논쟁: 갑인: 9개월 설-서인, 1년 설(남인) 승
이후 허적의 유 악사 건, 허견(궁중 물건)-역모
숙종

서인 승 남인 견제  경신환국-1당 전제화----> 서인 분열
남인 승 기사환국  장희빈 아들 세자 책봉 문제 노론-송시열-장희빈 사약 강경파 
서인 승 갑술환국 인현왕후 복귀 -  소론-윤증-온건파 
인현왕후 복귀 후 사망- 장희빈 사약
숙빈 최 씨 아들(연잉군)-(무당 저주굿  )->장희빈 (무고의 옥) 
경종 소론 승 소론- 장희빈에  우호적 (신임사화) 
영조 노론 승 노론 가문 특정 가문이 권력독점 세습
(연잉군) 이인좌의 난  소론/남인 참여
탕평 교서 탕평파 중심 정치-완론 탕평 
왕의 지지세력-탕평파/왕권강화: 산림의 존재 부정
서원 대폭 정리/이조전랑의 영향력 약화
성균관 입구- 탕평 비 건립/수성윤 음(도성 수비 강화)
신문고 부활 노비 공감법/사적 형벌 금지/균역법-1년 1 필
사형수 삼 심제  압슬형 가혹 형벌
백과사전 동국 문헌 비고 /속대전/ 속 오례의 속병장 도설 증수 무원록
청계천 준설

사도세자 - 뒤주에서 마감 
정조

시파=연민 남인 /벽파=당연 노론 
준론 탕평  
규장각 설치(창덕궁내)  장용영 창설(친위부대)
4 유수부 체제 (한양을 중심 개성 강화 광주 수원) 
만천 명월 주인옹
초계문신제 
화성 대유 둔전-경비 충당/배다리(한강 경강상인) 
수령이 군현 단위의 향약을 직접 주관
신해통공- 1791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금난저권폐지
공장 안 폐지/제언 절목(수리시설 독점 금지) 
대전통편 동문휘고  추관지  탁 지지 춘 관 통고  무예도보통지/일성록

 

명과의 관계 
여진= 이지란(퉁 두란) 이성계 의형제 
명의  조선에 들어온 여진인 송환 요구
명에서 정도전을 송환 요구-표전 문제  
조선에서 명에 보낸 국서가 불손 핑계  
관련 정도전 송환 요구- 권근이 해결 
종계변무(혈통) 요구 
이인임-이성계의 부모로 잘못 기재 
이성계의 부모: 이자춘--선조 시기 수정
태종 시기에 안정됨 


동남아시아 
시암(태국) 자와(자바 현재의 인도네시아 교류) 
류큐   불경 유교 경전 범종 부채 (현재 오키나와 임)
태종 시기에 사대가 안정 
책봉- vs 자주적 
조공- 3년 1회 요구---조선에서 1년 3 회 원함
조공- 하사품(多) 실리적/ 선진문화 수용(공무역) 
여진 정벌 - 강경: 세종 4군 (최윤덕) 6진(김종서) 압록강과 두만강 
  회유 귀순장려/ 사신관: 북평관/ 무역 소-국경무역과 조공무역 
소금 포목 미곡 농기구-주고  말, 모피 수입 
사민 정책 : 경상 전라도인 북방으로 이주 
토관 제도 : 지방의 토착민에게 주던 특수 관직
일본 정벌 이종무  쓰시마 정벌 1419 
삼포 개항:  부산포 염포(울산)  제포(창원) 
제한 무역 계해 약조 1443  세견선 50척  세사미두 200석 거류왜인 60명 
삼포왜란 1510  중종 시기
삼포 폐쇄 후  임시기구인 비변사 설치 
임신약조 제포만 개항  세견서 세사미두를 반감 왜관- 
사량진 왜변 1544  통영에서 난   
을묘왜변

명종 1555 일본과 국교 단절- 비변사 상설 기기 


붕당정치가 시작되었다 (사림 정권)  
동인 계열
김효원//이황 조식 서경덕 학파적 성격을 지님 
정여립 모반//원인: 정여립 모반-역성혁명 서경덕과 
동인승//조식 등과 친분 제거됨 (기축옥사) 
동인 분열//원인: 서경덕 조식 계열: 강경파 북인 
                     이황 계열- 온건파(남인) 
                     (서인의 처결 문제로 분열) 


기성 사림-온건(척신 정치 잔재세력: 이조전랑직 천거 문제)
심의겸// 이이, 성혼 등 문인들 참여 
서인승 
세자-건저의//원인: 선조가 후궁 인빈 김 씨의 소생 신성군을  마음에 두고 있었으나 정철이 광해군 추대로  
북인-강경//미움을 사서 정철을 제거/ 의인왕후 -소생無 
북인승// 임진왜란 시 정국 주도
북인 대외관계//사대교린 교린: 여진 일본 동남아 등/사대: 명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