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정유재란/전후 배경과 영향
임진왜란
내적배경: 관료들의 수탈에 항거- 임꺽정의 난(명종 14 1559) , 피지배계급의 저항
16세기 군사제도의붕괴 군포 제로 인한 농병 일치제의 붕괴
외적 배경: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 전국시대 혼란 수습 후 임진왜란을 일으킴
정명가도-일본이 명의 본토 침략을 위해 출병 (농민 수탈을 해서) 출병
임진왜란 때의 주요 전투
임진왜란 3대대첩: 한산도, 진주, 행주대첩
왜군의 침략(1592. 4.)→부산성 전투(정발)→동래성 전투(송상현)→상주 전투(이일)→충주 탄금대 전투(신립)
→한양 함락(1592. 5. 2.)→옥포 해전(수군의 첫 승리, 1592. 5. 7.)→ 사천해전(최초 거북선 승리) ->
평양성함락1592.6.4 최초 승리 -> 한산도대첩(1592. 7.) 이치 전투(권율 1592.7)->금산전투(고경명 조헌 영규 전사 1592.8)
→진주 대첩(김시민, 1592. 10.)→평양성 탈환(조·명 연합군, 1593. 1.)→벽제관 전투(여석령) 명 과일의 교전 일 승리 1593-1.27 행주 대첩(권율, 1593. 2.)→진주성 2차 혈전(1593. 6.)→훈련도감 설치 1593.8-> 선조의 환도(1953. 10.)→
정유재란 후 칠 전량 해전(원균의 패전, 1957. 7. 15.)→명량 대첩(1597. 9.)→노량 해전(1598. 11.)
임진왜란 후 휴전회담 진행 중(훈련도감 설치/속오 법(지방 군 편제) 무기 개량하며 전열을 정비
속오군: 양반~노비 (기존 진관 체제)
의병의 활동
경상도의 곽재우, 충청도 옥천 금산의 영규와 조헌 전라도의 김천일 김덕령 고경명,
묘향산 일대의 서산대사 휴정, 금강산 일대의 유정(사명당 송운대사), 함경도 경서 길주의 정문부
임진왜란의 영향
조선: 국토의 황폐화(인구 격감 농촌의 황폐화) , 신분제 동요 (납속책/공명 책-양반수의 증가) , 양반층의 분화(벌열/몰락), 농민 층의 분화(부농 등장), 민란(이몽학의 난) , 실학, 서민 문학, 주요 문화재 소실: 경복궁 불국사 4대 사고 (전주사고만 남고) 소실
명: 정명가도를 외치면-일본이 명의 본토 침략을 위해 출병 (농민 수탈을 해서) 출병 -> 민란 발생 명청 교체기의 원인이 됨 (재정파탄 인적손실_
일본: 임란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에도막부 설치- 도자기 전쟁이라고도 부름
에듀윌 한국사 공부를 하며 틈틈이 기록한 자료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는 사랑입니다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세의 문화(15세기)조선왕조 실록/한글창제 (0) | 2020.11.07 |
---|---|
1388위화도 회군이후~조준 전세 개혁상소(조선 전기의 토지 제도) (0) | 2020.11.07 |
사림의 분열 동인/서인/임진왜란/남인,북인,광해군 (0) | 2020.11.02 |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달 /이황/이이/과학기술/미술/음악/4대사화/환국 (0) | 2020.11.01 |
조선의 과거제도/사림의 기반-서원/유교서적 (0) | 2020.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