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경제정책
중농억상공 관청 수공업(소) 수공업 양안-토지대장 , 호적(3년마다)->호부/삼사(회계)
조세: 수확량 1/10 공납(戶) 집집마다 토산물(부담 크다) 상공(일정액)-별공(시시때때로)
요역 군역 역: 16-60세 정남 어세 염세 선박세(잡세) 조세 운송(조운 제도) 조창- 좌, 우창 잉류 지역(양계) 국방비로 사용
2월-5월 각 지역 조창- 개경(경창) 좌(녹봉), 우창(국용) 국가의 필요경비
시비법: 소를 이용 깊이갈이 일반화/거름, 밭농사: 2년 3작 윤작법이 점차 보급 /이앙법: 남부지방 일부 모내기법 보급
일역 전---->> 고려: 휴한 농법: 1년 하고 담해는 쉬는 땅
농상집요: 이암(원)이 소개 재역전: 1년 경작 2년 쉬고
시비법의 발달 고려 후기: 점차 연작 상경화(점차 늘어남)
공민왕- 문익점 목화씨 전래 1363시 전+관영 상점(경시서: 불법적 상행위 감독)
소수 공업 소금의 전매제-충선왕
화폐: 성종(고려) 최초의 철전 건원중보 발행 996- 유통 실패
주전론 건의 숙종-주전도감 은병(활구) 은전 / 저화(공양왕) 지폐
(삼한통보 해동통보 해동중보-동전) 원 간섭기 보초 유통(원나라 화폐)
보 학보: 교육 광학보-승려 장학금 경보-불경 간행
제위보-빈민구제 금종보-종 팔 관보=팔관회 개최
무역 고려 최대의 무역항: 벽란도 / 고려--> 송에 수출품: 종이 먹 일본 수입: 수은 유 아랍상인- korea를 널리 알림
12세기 이후 이자겸 등 문벌 귀족의 대토지 집적으로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다가 무신 정변 이후 완전히 붕괴됨-
무신들의 대농 장운영으로 전시과 제도 붕괴
고려시대 토지의 종류
과 전(科田) 전시과의 규정에 따라 문무 관리에게 지급
공음전: 5품 이상의 관리에게 과전 외에 따로 지급했고, 세습이 가능했음
한인전: 6품 이하 하급 관리의 자제로 관직에 오르지 못한 자에게 지급
군인 전: 중앙군에게 군역의 대가로 지급·군역의 세습으로 토지 세습
구분전: 자손이 없는 하급 관료와 군인의 유가족에게 지급(생활 대책 마련)
외역전: 향리에게 직역에 대한 대가로 지급
내장 전: 왕실 경비 충당을 위해 지급
민 전: 일반 농민들이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토지로 상속·매매·기증·임대 가능
고려 시대 예술의 발달
⑴ 고려 목조건축물
① 주심포 양식, 배흘림기둥 : 안동 봉정사 극락전(현존 최고(最古)의 목조 건물),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예산 수덕사 대웅전
② 다포양식 : 원의 영향, 사리원 성불사 응진전이 대표
⑵ 석탑 : 다각 다층탑 발달
① 전기의 석탑 : 개성 불일사 5층 석탑, 개성 현화사 7층 석탑(고려의 독특한 직선미),
평창 월정사 8각 9층 탑(송의 영향을 받음)
② 후기의 석탑 : 개성 경천사지 10층 석탑(원의 라마 예술의 영향, 조선의 원각사지 10층
석탑에 영향을 줌
고려 형별 제도
태: 때리는 것
장: 곤장
도: 징역형
유: 유배형(귀양형)
사: 사형
귀향형( 지배계급으로부터 분리) 고려 형벌
지배계급이 죄를 지었을 때 본 관지로 보냄
姓 공민(천민이 아닌 사람들) 성을 가진다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시대불교/종교/천문학/의학/팔만대장경/장경판전 (0) | 2020.10.28 |
---|---|
고려시대 교육및 학문/역사서/유학 (0) | 2020.10.25 |
무신정권기 1170 경인년~1270 개경환도~고려말/신진사대부 (0) | 2020.10.24 |
북방민족 거란과의 관계 /여진/몽골/원간섭기/공민왕 (0) | 2020.10.24 |
고려지방행정제도/군사제도(중앙군/지방군)~무신정변/묘청 (0) | 2020.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