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지방행정제도/군사제도(중앙군/지방 군)~무신정변/묘청의 서경 천도운도
천체관측-사천대 / 외교문서- 한림원 / 역사편찬-춘추관 / 왕실의 도서관-청연각/보문각 /서적 출판기관- 서적포
지방행정제도
5도 안찰사 파견 - 지방관 감독함 주군현(일부 만파견) 주현군
양계 병마사 파견 - 상주 진설치-특수 군사지역 설치 주진 군
향 부곡 소 양인(일반 양인 백정)보다 세금 부담이 더 많음- 사회적으로 차별
특수행정구역 향 부고-농사 소- 금은점… 종이 먹 공산품 등 공납품
주현- 지방관 파견 (0) 실무는 향리
군사제도
속현- 지방관 파견 안 함-향리가 지방관 역할 실무행정 향리- 지방실무 (외역전 지급)
중앙군
2군 응양 군 용호 군 - 직업군인 직업군인 군인 전-국왕의 칭 위부대 세급됨
6위 수도경비 국경방어 좌우 위 신호위 흥위위-개경 및 변방 수비
(직업군인) 금오위-경찰 천우 위-의장(군사 의식) 감문 위- 궁성 수비 직업군인/군반씨족-세 급 (군인 전)
2군 6위 지휘 무관 최고 직책
상장군 정 3품
대장군 종 3품
중방 무관합 좌기 구
지방 군
주현군 치안 경비-보승 정용 일품 군(노동 부대 향리가 지위)
주진 군 양계의 상비군
특수군
광군 3대 정종- 거란 방어 목적
별무반 숙종 윤관의 건의 여진 정벌 신보군-보병/신기군-기병/ 항마군-승병 1104
삼별초 최 씨 무신정권 부대 최의 (야 좌우 ) 몽골항쟁
연호군
고려 말기 왜구 토벌 농민과 노비 양천 혼성부대
중방 무신합 좌기 구(군사 최고 회의기구
과거제도
문과: 제술업 명경업 제술과- 문예 능력 제술업이 우대 명경과- 유학경전 해석 능력
잡과: 법률 회계 지리 등 기술관
승과 교정선(시)
선종선(시)
무과 공양왕 때 정식 채택(없었던 것과 마찬가지)
향 부곡 소의 백성은 양인이었으나 과거 응시 불가
음서제도-문벌귀족사회의 정치특권 5품 이상의 고위 관료의 자손 등
조상덕으로 관리에 임용하다--->> 정규 음서
과거 응시자보다 고위관직에 더오름--->> 특사 음서
문벌귀족사회의 모순
음서/공음전(세습)
이자겸의 난 / 척준경과 난을 일으킴 1126 인종 묘청 등 신진세력 등용/ 인종의 개혁정치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의 경제정책/목조건축물/전시과/조세제도/공음전 (0) | 2020.10.24 |
---|---|
무신정권기 1170 경인년~1270 개경환도~고려말/신진사대부 (0) | 2020.10.24 |
북방민족 거란과의 관계 /여진/몽골/원간섭기/공민왕 (0) | 2020.10.24 |
후삼국시대~고려전기/태조왕건/광종/성종의 업적 (0) | 2020.10.20 |
민정문서/고대국가유물/원효/의상/교종/선종/설총/주자감 (0) | 2020.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