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고려지방행정제도/군사제도(중앙군/지방군)~무신정변/묘청

반응형

고려 지방행정제도/군사제도(중앙군/지방 군)~무신정변/묘청의 서경 천도운도

천체관측-사천대 / 외교문서- 한림원 / 역사편찬-춘추관 / 왕실의 도서관-청연각/보문각 /서적 출판기관- 서적포

 

지방행정제도

5도 안찰사 파견 - 지방관 감독함 주군현(일부 만파견) 주현군
양계 병마사 파견 - 상주 진설치-특수 군사지역 설치 주진 군
향 부곡 소 양인(일반 양인 백정)보다 세금 부담이 더 많음- 사회적으로 차별
특수행정구역 향 부고-농사  소- 금은점… 종이 먹 공산품 등 공납품
주현- 지방관 파견 (0)  실무는 향리


군사제도

속현- 지방관 파견 안 함-향리가 지방관 역할 실무행정 향리- 지방실무  (외역전 지급)
중앙군

2군 응양 군   용호 군 - 직업군인   직업군인 군인 전-국왕의  칭 위부대  세급됨

6위 수도경비  국경방어   좌우 위 신호위 흥위위-개경 및 변방 수비
(직업군인) 금오위-경찰   천우 위-의장(군사 의식)   감문 위- 궁성 수비 직업군인/군반씨족-세 급 (군인 전)


2군 6위 지휘 무관 최고 직책
상장군           정 3품
대장군           종 3품
중방  무관합 좌기 구

 

지방 군

주현군 치안 경비-보승 정용 일품 군(노동 부대 향리가 지위)
주진 군 양계의 상비군 
                                 

특수군

광군 3대 정종- 거란 방어 목적
별무반 숙종 윤관의 건의 여진 정벌   신보군-보병/신기군-기병/ 항마군-승병 1104
삼별초 최 씨 무신정권 부대 최의 (야 좌우 ) 몽골항쟁


연호군

고려 말기 왜구 토벌  농민과 노비 양천 혼성부대

중방 무신합 좌기 구(군사 최고 회의기구

과거제도

문과: 제술업  명경업 제술과- 문예 능력 제술업이 우대 명경과- 유학경전 해석 능력
잡과: 법률 회계 지리 등 기술관
승과 교정선(시)
선종선(시)
무과 공양왕 때 정식 채택(없었던 것과 마찬가지)
향 부곡 소의 백성은 양인이었으나 과거 응시 불가
음서제도-문벌귀족사회의 정치특권 5품 이상의 고위 관료의 자손 등
조상덕으로 관리에 임용하다--->> 정규 음서
과거 응시자보다 고위관직에 더오름--->> 특사 음서


문벌귀족사회의 모순
음서/공음전(세습)
이자겸의 난  / 척준경과 난을 일으킴  1126 인종 묘청 등 신진세력 등용/ 인종의 개혁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