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고려 신분 계층 구조/여성의 지위/신진사대부

반응형

고려 계층구조 고려 신분 계층 구조/여성의 지위/신진사대부

 

귀족
고려초: 문벌귀족 ->  왕족/5품 이상의 관료  특권층/ 음서나 공음전
무신: 무신집권기 -> 가문  최씨 4대 60여 년이 전성기
원 간섭기: 권문세족 -> 평양 조 씨
             조인규- 몽골어 역관

신진사대부(원 간섭기 이후)- 공민왕 시기 대거 과거로 진출

중류층

직역세습  토지 지급 
잡류 향리 남반 군반
향리(호장, 부호장)

 

양민

백정(농민), 수공업자,상인(일반 백정보다 차별 받음)



천민(노비)

공노비- 입역노비

           외거노비
사노비- 솔거노비
           외거노비 "신공"납부하고 남은 것은 사유(부를 축적)
**신분세습: 일천즉천 (1명이라도 노비이면 자식은 노비이다)


연등회

정월15일  불교적 종교행사  전국적
음력 1월  15일  

팔관회

개경 11월 15일 / 서경 10월 15일   1년 2회
겨울-기우제 국가 왕실의 태평 / 지방관과 외국인의 진상 허용 (국제적 교역의 장)
정보교류의 장  축제의 형태
도교 토착신앙 불교등이 어우러진 불교행사임 / 유교의식 권장- 일반 백성들은 
토착신앙과 융합된불교및 도교 의식을 거행

여성의 지위 균분상속

윤회(윤행) 봉사
서류 부가혼
사위, 외손자 음서 혜택
여성-재가 자유--- 소생의 자식의 사회적 진출에도 차별받지 않았다

향도 외
불교 신앙 공동체--->>점차 농민 공동체로 
매향(위기상황에서 바닷가에 향을 묻는다)
미륵신앙
농민 공동체 상두꾼


직전:  왕의 친경지
상평창  :  12목에 설치 (개경/서경 포함)
동서대 비원:  빈민 환자의 치료
제위보: 광종 시기 빈민구제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