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근세의 문화(15세기)조선왕조 실록/한글창제

반응형

근세의 문화(15세기) 조선왕조 실록/한글 창제

 

15세기

부국강병  과학기술 실용적 자주적 성격 민족문화
성균관 생원이나 진사 또는 향교나 4부 학당의 추천을 통해 입학가능
권당(단식투쟁  공재(동맹휴학)  알성시의 혜택
4부학당

한양 중등교육 중학 동학 서학 남학  정원 100명
향교

지방 중등교육:   부목 군현 각각 1개 중앙에서 교수/훈도 파견
서당 초등교육기관(평민 선비 자제)
서원 중종 백운동 서원(소수서원) 1542
향음주례 음력 10월  향사례 봄가을  향촌사회 교화

한글 창제 1443-1446 반포
조선 세종  집현전: 신숙주 성삼문 정인지 박팽년
용비어천가,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세조: 월인석보 1459  간경도감 1461: 불교 경전
서리: 행정실무
반발: 최만리 등 일부 유학자들과 양반
의의: 민족 문화가 발전  일반 백성의 문자생활

경국대전을 기본으로 대명률을 적용
반역죄/ 강상죄(삼강오륜) 연좌제 처벌  태장 도유 사형
신분에 따라 처벌을 달리
민법: 관습법에 의해 지방관  노비 관련 소송->>산송(일종의 묘지 소송)
       산송:  풍수지리설
상속:  종법에 의거 처리 (제사 및 노비 상속 중시)
사법기관 

중앙: 사헌부 의금부 형조 한성부 장례원  
지방: 관찰사 수령이 담당


역사서
15세기 초

정도전 : 고려국사
권근:  동국사략
조선왕조의 정당성
15세기 중엽
문종: 고려사-기전체(본기 X 세가 열전 지 표 )
신우 신창- 반역 열전에 수록
(고려말 사실을 의도적 왜곡)
고려사절요-편년체
15세기 후반

동국통감: 성종 서거정 역사서  편년체
단군~고려말  외기에 수록(단군~삼한)
16세기 기자 실기- 이이(단군조선 부정)

편년체
조선왕조 실록-왕사후 춘추관에서 편찬-사초
1. 태조~ 철종실록
2. 왕의 사후
3. 사초 기준  史官
4. 4대 사고: 임진왜란 시 소실
   춘추관  충주 성주 전주(전주사고 만남음)
   광해군 시기 5대 사고에 보관
5.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  1997

국조보감 : 선왕 치적 중 모법 발췌 요약한 편년체
(세조 때~순종까지)

일제강점기(왜곡)
고종실록 1919년 사망  3.1 운동
순종실록 1926년 사망 6.1. 순종의 인산일

지도  지리서의 편찬
관찬 통치 목적
15세기 태종

혼일강리 역대 국도 지도-중화사상 유럽 아프리카
중국 수입 성교광피도+혼일강리도 기초+일본지도
세조

동국지도: 두만강 압록강 자세하게 그림


16세기 조선 방역지도
만주와 쓰시마를 표기  해안선이  현재와 일치

지리서 편찬
세종- 신찬 팔도지리지
단종- 세종실록 지리지- 단군신화
성종-동국여지승람: 단군신화 
중종- 신 증 동국여지승람- 현존
성종- 해동 제국기 신숙주 일본의 역사와 지리 등 상세 서술

법전
조선경국전- 정도전 조선 최초의 사찬 법전
경국대전- (세조~성종) 반포
              최항과 노사신 - 조선의 기본 법전
속대전- 영조
대전통편- 정조
대전회통- 고종(흥선대원군 섭정)
육전조례- 흥선대원군

정도전의 책-경고합니다 불조심하삼(외우는 방법)^^
제문감      심기 이편
려국사      심문 천답
씨잡변     봉집
선경국전
 
유교 서적

15세기
세종:  삼강행실도(충신 효자 열년)
        설순등이 (중국, 일본 사례) 한글로 번역
        글 또는 그림으로도 표현
국조오례의: 신숙주 등이 성종 시기
        제사 (길례) 흉(상장례)
        빈례: 빈객 군사: 군례 가례(관혼)
16세기 

이륜행실도(붕우/형제)
중종- 동몽수지: 어린이 예절
동몽선습 -박세무 
(경사 지략(서당 교과서)


미리내 성지입구단풍나무2020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