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 수공업 광업 향촌 질서의 변화/천주교/동학
민영 수공업 광업
정조
공장안 폐지-관영 수공업이 쇠퇴
민영 수공업의 일반화
선대제 수공업-상업자본의 수공업 지배
(자금과 원료를 선대 받아 제품 생산)
상업도시의 성장- 포구중심
시전- 독점 판매권 금난전권
사상- 난전(시전상인과 대립)
1791 신해통공_ 금난전권 폐지(6 의전을 제외)-정조
도고 독점적 도매상인
공명첩/납속책 양반수 급증
서얼 정조시기 규장각 검서관 등용
1851 신해 허통 청요직으로 진출 허용
중인 철종시기 소청 운동 실패
역관 외래 문화 수용 주도-------통상 개화론자로 성장
팔포 무역(인상 8포대 교역) 허용
광업
1. 사채 세금 징수: 설 점수 세제 (민간에게 사채 허용)-효종
잠채 세금 안 냄
수령 수세제
물주- 시설 자금조달
덕대- 전문 광산 경영자
광군- 채굴 노동자 분업을 통한 협업
객주와 여각 거간
상평통보- 인조- 전국 유통(숙종)
퇴장- 화폐를 모음
전황- 화폐 유통량 부족 현상
이익- 폐전론( 화폐를 없애자)
노비 일천 즉천
영조 속대전- 노비 종모 법(어머니 신분)
아버지 노비, 어머니(양인)- 자는 양인
공노비 해방 - 순조 66,000여 명 해방
노비제 폐지 제1차 갑오개혁 1984 신분제 폐지
법제상 폐지
18세기 중엽
17세기 성리학적 부계 중심
친영 제도 보편화
女->>男(시집)
제사/상속: 적장자
아들이 없는 경우 양자를 입양
향촌 질서의 변화 기존 사족-구향/신향의 향촌 주도권: 향전
구향-족보 청금록(서원 학생 명단) 향안(양반 명단) 향약 동계
구향-문중 중심 서원 사당(사우)
향회: 약화 (세금 부과 자문역할)
관권은 신향과 결탁- 기존 사족의 영향력 약화
향리의 권한도 강화- 농민 수탈
사회변혁의 움직임
예언 사상: 각종 비기 도참설 정감록( 정도령) / 미륵신앙 무격신앙
천주교 서학 소개 18세기 후반 남인 실학자- 신앙운동 발전
평등사상 내세 신앙
정부의 사교 지정(제사 거부 신분질서 부정)
1791 정조 신해박해 - 윤지충의 모친의 신주 불사름-개인
1801 신유박해 이승훈 순교/ 이가환 정약종 주문모-순교
순조 정약용(강진) 정약전( 유배형)
정약전= 흑산도 자산어보(어류 생태계)
1801 황사영 백서 발각- 박해가 더 심해짐
1839 기해박해 척사 윤 음 (사교 금지 문 / 오가 작통법 강화)
1846 병오박해 최초의 신부 김대건 신부 순교
1866 병인박해 9명의 프랑스 신부와 남종삼이 순교
병인양요의 원인
동학: 서학을 반대한다(민족종교)
1860 경주의 잔반 최제우 창도
시천주 인내천 후천개벽
최시형은 동경대전 (경전)-한문 및
용담유사(가사집-한글) 편찬
교단 조직(포접제) 정비 교세 확장
남접- 전라도
북접- 충청도
홍경래의 난 1811 순조
원인: 지역적 차별과 삼정의 문란
청천강 이북 장악 관군에게 패함
1862 진주민란(단성~ 진주)-임술 농민 봉기
백낙신의 탐학
주도: 유계춘 (진주성 점령)
안핵사 박규수 파견 민란의 원인 파악- 삼정 개혁안
삼정 이정청-실패
~~~ 전국적으로 확대 임술 농민봉기
19세기- 세도정치 비변사
순조 안동 김 매관매직---홍경래의 난
헌종 풍양 조 농민 수탈
철종 안동 김 민란( 임술년 도합 37회 민란 발생 ….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학연구의 발전/역사/지리서/지도/과학/언어학연구 (0) | 2020.11.22 |
---|---|
성리학의 교조화/탈성리학/양명학과 실학 (0) | 2020.11.15 |
조선후기의 대외관계(일본/청)신분 구조의 변화/ 경제(수취 체제의 개편) (0) | 2020.11.08 |
조선후기 정치구조의 변화/훈련도감/호란과 북벌론/광해군 (0) | 2020.11.08 |
근세의 문화(15세기)조선왕조 실록/한글창제 (0) | 2020.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