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학연구의 발전/역사/지리서/지도/과학/언어학 연구
17세기
역사서
허목 기언(미수) **허목의 호(미수)
이종휘 동사-단군 부여 고구려 중점 만주수복을 기원 (고구려 역사 심화)
안정복
동사강목- 단군 기자 마한 통일신라 고려 까지 독자적 삼한 정통론(마한 정통론)
고증 사학의 토대 마련 / 발해를 본국사에서 제외(외기 처리함)
속편: 열조통기 (단군~고려~조선영조)
유득공 발해고- 남북국 용어 처음사용
김정호 대동지지- 남북국용어 사용
이긍익 연려실기술- 기사본말체역사서 (조선정치 문화를 정리한 야사)
한치윤
해동역사-기전체 (세가 지 열전이 없다)
500여 종의 중국 및 일본 자료를 이요- 문헌 고증적인 백과사전식 저술
민족사 인식의 폭 넓힘
여항문학
이진흥-연조귀감- 향리의 역사
규사- 서얼의 역사 (대구 유림)
이경민-희조 일사
조희룡- 호산외기 풍요 삼선 (이항인)
과학기술
1603 이광정 (1602 마테오 리치 곤여 만국 전도)를 가지고 옴
벨테브레 인조시기에 서양식 대포 제조법 전래
하멜 효종시기 네덜란드에서 표류
천문학
김석문 지전설을 최초주장-역학도 해
홍대용 지전설/무한우주론
역법
김육 / 김상범의 노력으로 아담 샬의 시헌력(태음력)을 바탕으로 태양력을 적용한 역법
수학
마테오리치 기하 원본을 도입
홍대용 주해수용(영주) 수학책
서민문화
판소리
12마당중 5마당 신재효
심청가 수궁가 흥부가 춘향가 적벽가
한글소설
사설시조-격식에 구애되지 않음
한문학- 양반전 허생전 호질 민웅전 양반사회의 허구성(한문소설
문체반정- 박지원(노론)의 새로운 형식의 문체를 문제 삼아
정조 시기 순정 고문으로 환원(문체 순정 문체 파동) 정국을 주도하기 위한 정책
시사- 시문학 동호 중인 상인도 참여
회화
진경산수화
정선(진짜 경치)
인황재색도 금강전도
풍속화 -김홍도(서민풍자 익살) 신윤복(양반 도회지 삶/부녀자 모음)
서양의 기법(원근 명암) - 강세황 영통골입구도
문인화 신위- 대나무 , 김정호- 묵란도 세한도, 장승업-군마도 홍백 매도
민화
역사지리서
정약용 이방강역고
한치윤 해동역사지리고
이중환 택리지- 가거지(살기좋은곳)
한백겸 동국지리지-역사지리서의 효시
지도
정상기 동국지도-최초100리척 사용
김정호 대동여지도-10리마다 눈금표시-목판
언어학 연구
신경준-영조 훈민정음운해
고금석림 이의봉-몽골어 일본어 만주어 타이어 거란어 …..
재물보 이성지
아언각비 정약용
언문지 유희
대동운부군옥 권문해
지봉유설 이수광
성호사설 이익-영조 시기
동국 문헌 비고 홍봉한 등이
의서
허준 동의보감 17세기
허임 침구 경험방-
정약용 마과회통 18세기
이제마 동의수세보은 19세기 사상의학
과학기술학
정약용 기예론-과학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거중기/배다리(주교)
농서
신속-농가집성 (농사직설과 금양 잡록을 합하고 이앙법 보급에 기여
박세당 색경 박지원 과농소초
홍만선 산림경제
정약전-흑산도 자산어보-어류의 생태계
서호수 해동농서
서유구 임원경제지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화운동과 위정척사운동/임오군란/갑신정변 (0) | 2020.11.22 |
---|---|
흥선대원군의 집권과정/통상수교거부정책/삼정문란개혁 (0) | 2020.11.22 |
성리학의 교조화/탈성리학/양명학과 실학 (0) | 2020.11.15 |
민영수공업 광업/향촌질서의 변화/천주교/동학 (0) | 2020.11.15 |
조선후기의 대외관계(일본/청)신분 구조의 변화/ 경제(수취 체제의 개편) (0) | 2020.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