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흥선대원군의 집권과정/통상수교거부정책/삼정문란개혁

반응형

 

흥선대원군
당백전 발행: 상평통보보다 100배 가치(화폐가치 하락)
물가상승- 인플레이션 원인

만동묘 철폐 47 제외 서원철폐

당백전


삼정문란 개혁

전정 -토지조사 / 은결 -양전 사업
군정 -동포법(호포법)-양반도 군포 1 필
환곡 -환곡 제도 폐지-사창 제실 시
면단위 사수를 뽑아서 운영


통상 수교 거부 정책
1866

제너럴셔먼호 사건(미국)- 대동강(평양) 수심측량 약탈
평안도 관찰사 박규수가 불사르고 선원 살해


1866  병인양요

1월 병인박해 9명 신부 사망을 구실로 9월에
프랑스 로즈 제독 강화도 외규장각 방화
조선왕조의 괘 340여 권 약탈(현재는 대여 형태 반환)
문수산성- 한성근/ 정족산성-양헌수가 프랑스군을 격퇴

1868

오페르트 도굴 사건   
독일인 오페르트  남연군묘 도굴하다 실패   **남연군(흥선대원군의 부친)


1871 신미양요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빌미로 미국의 로저스 함대사령관
강화도 침공   광성보 갑곶 격전- 어재현 분전 패사
"수"자기 미군에 의해 약탈 (2007 장기임대 형태 반환) 
강화도 수비 강화를 위해  심도 포량미 1 결당 1두

 
1871 흥선대원군/척화비 설치
양이 침범-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는데
비전 즉 화- 싸우지 아니하면 곧 화의를 하는 것이요
주화 매국- 화의를 주장함은 곧 나라를 파는 것이다

척화비


1873 고종의 친정 최익현의 계유 상소 ->>흥선대원군  하야
        봉건 지배 체제를 유지하려는 지배계급의 한계

개항기 (흥선대원군의 섭정 시기 요약)

흥선 대원근  

섭정 시기 1863-1873 -> 왕권강화 민생안정
쇄국정책 통상 수교 거부 정책
세도정치 이후라  왕권강화가 필요
비변사 혁파 정치(축소 혁파) 

정치->>의정부
군사->>삼군부
대전회통 대전회통 편찬/ 행정사례집: 육전조례
서원 정리 만동묘 철폐-송시열의 유지(임진년- 명나라 황제 제사 사당)
사액서원 47개를 제외한 600여 곳 철폐
목적: 서원 소유의 토지와 노비 몰수 국가재정확보  지방 유생들의 농민 수탈을 막고자 의도
경복궁 중건 원납전 징수(강제 기부금)  묘지림 벌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