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일제의 국권 피탈 과정/일제 강점기 연표

반응형

일제의 국권 피탈 과정
1902 제1차 영일 동맹 (영, 일이 연합 러시아에 대해서 군사 동맹)
1903 용암포 사건 압록강 용암포에 조차 요구- 러시아 남하


대한제국 국외중립 선언
1904 러일전쟁 일본이 러시아 선제 공고    ----->>> 일본 승기
      ~ 1905 일본은 (영국과 미국의 도움 받음)
1904 한일의정서 강요
대한제국의 군사적 요충지 점령

 

고문 정치 
1904.8 제1차 한 일 협약
재정 고문 일본- 매가타
외교고문 스티븐스 
1905 미. 일 가쓰라 테프트
일본은  대한제국을  미국은  필리핀 을지 배 상호협약
제2차 영일 동맹
영국은 인도를  일본은 대한제국 상호협약
포츠머스 조약:  러일전쟁 강화조약: 일본 승
러시아- 한반도 영향력 상실
1905.2 일제는 1905.2월 독도를 강탈하여 시네마현에 편입
1905 을사늑약(강제)  제2차 한일협약- 보호국
11월 외교권 상실
통감부 설치 이토오 히로부미
민영환 자결로서 저항
헐버트 미국 특사를 파견( 거중 조종)-조미수호통상조약
 -->> 실패(미일 가쓰라 테프트 조약)
나철 오기호  을사오적 암살단 조직

1907  헤이그 밀사 사건 이준 이위종 이상설
        고종 강제 퇴위
        한일 신협약- 정미 7 조약 차관 정치   / 군대해산
        순종- 융희
1909  기유각서    사법권  감옥 사무 박탈
1910  경찰권 박탈


무단통치

헌병 경찰 통치 한일 병합 조약  19100829  국권 피탈
조선총독부 설치-데라우치 총독
입법 사법행정 군대 통수권까지 절대권력
총독 아래  행정 정무총감/치안담당 경무 총감
중추원: 자문기구- 1919.3.1 운동까지 정식 모임 없음無
1912  조선 태형령
        조선인에 한해 적용 
1911 제1차 조선교육령- 우민화 교육
1912 토지 조사 사업 ~1918
1910 임시 토지 조사국 설치 ->1912 토지조사령 발표
        목적: 토지수탈
        방법: 기한부 신고제, 증거주의 (기한을 알려주지 않음)
               대규모 민 신고토지의 발생
               수탈된 토지는 1908 설립한 동양척식 주식회사 관리 또는 일본인에게 판매
               (식민지 지주제 강화 ) 지주들은 조선총독부가 인정
               조선인들은 기한부 소작농으로 전락-연해주나 간도로 이주
산림령 1911 임야조사령 1918   어업령 1911 광업령 1915
1910 회사령 : 총독부 허가
        --> 조선민족자본의 성장을 억제
1920 회사령 폐지 :  (신고제(=계출제))
       --> 일본 자본의 조선 진출을 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