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1910년 국내 민족운동-비밀결사

반응형

1910년대 만주 지역의 독립운동 단체

1910년  국내 민족운동-비밀결사

 

1912 독립의군부 - 고종의 밀지 임병찬 복벽주의  국권 반환요구서
                         항일의병운동-임병찬  실패
1915 대한광복회 공화주의
                       박상진, 채기중, 김좌진- 군대식으로 조직
                       사관학교 설립 추진- 군자금 모아서
1915 조선 국권 회복단  단국신앙을 가진 유림들
       3.1운동 주도   비밀결사조직
1913 송죽회 평양 숭의 여학교 학생 여교사
서간도 삼원보-경학사-부민단-한족회로 개편
         경학사- 신흥강습소->>>신흥 무관학교
북간도 관민회
         서전서숙- 이상설
         명동학교- 김약연
1911 중광 단 대종 교계  무장단체---->>북로군정서
       김좌진이 선임(총사령관)
연해주 13도 의군 창설-성명회 국내 진공 계획
1911 권업회 이종호 등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  권업신문(신채호)
1914 대한광복군 정부(이상설, 이동휘) 대통령/부통령--->> 이동휘는 최초의 사회주의 정당(한인사회당)
       향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될 수 있는 배경 
중국- 상해
1912 동제사 신규식
1915 대동보 국단 박은식  신규식  (진단)
신한 청년당:   김규식  여운형  김구  대한독립 사회개조 
대한독립 사회개조 세계 대동을 정강으로 채택
 - 김규식을 파리 강회 회의에 대표자로 파견

1919 3.1 운동
1914-18 배경: 제1차 세계 대전의 종결과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독일 오스트리아 헝가리 오스만튀르크(패전)
           이 지배하고 있던 식민지- 패전국 식민지 민족자결
           조선은 승전국 일본의 식민지이므로 제외됨
1917 대동단결 선언- 신한 혁명당 인사들이 주도적
1918 무오 독립선언(최초)
1919 2.8 일본 도쿄  2.8 독립선언
       파리 강화 회의 김규식-신한 청년당
1919 1.21  고종의 독살설(국내)

무단통치---->>>문화통치로 변화  


미국 하와이/미국 본토
하와이: 노동자  / 미국 본토: 지식인 자본가 정착
1909 한인 합성협회(하와이)-이승만 박용만 안창호 주도/공립협회(본토)
       배경: 전명운 장인환 의사의 스티븐스 암살사건 1908 
대한인 국민회 (한인합성협회+공립협회)
         무장투쟁- 박용만/ 실력양성-안창호/외교-이승만
흥사단 안창호가 세운 실력양성 운동
대조선 국민군단- 박용만(하와이)  군사교육단체


전개과정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최남선- 독립선언서를 기초(기미 독립 선언서)  공약 3장은 한용운
1919.3.1 인사동 태화관에 모인 민족대표들은 독립선언
            자진 체포
주도-학생 파고 타공원에 운집 학생들이  독립 선언서를 낭독
       시민 도시---->>농촌 전국적 확대
제암리 학살 수원화성(제암리) 교회에 가둔 후  불을 지름
비폭력(도시)---------농촌 확대(무력투쟁적)
결과:  만주~연해주   미국 서재필이 주도한 한인 자유대회 개최
중국 5.4 운동에 영향  (반제국주의 운동) 1919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중국 상해
실패 원인:  조직화하지 못해서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