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문화통치 1920년 일제의 식민 통치

반응형

문화통치 1920년 일제의 식민 통치


1919.03.01 배경:  3.1 운동으로 국제적 여론의 악화로
문화통치: 문관도 조선총독에 임명가능
해방 때까지 단 한 명도 민간인 총독은 없음
보통 경찰제 헌병 결찰제---->> 보통 결찰 제로  
특별 고등 경찰제- 감시체제
1920 조선일보  동아일보  개벽  검열 언론탄압은 계속
1925 치안 유지법--->>항 일동 립 운동가나 사회주의 (항일) 탄압
1922 제2차 조선교육령
대학설립- 민립대학운동의 근거- 민립대학은 실패
 ---->> 일제의 1924 경성 제국 대학설립(관립)
친일파  양성
이광수:  자치운동(식민지배는 인정하고 자치운동을 추진)
            민족 개조론, 민족적 경륜
1920-1934   산미 증식 계획
배경: 1914~1918  제1차 세계대전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의 황태자 부부가 세르비아인에
        의해 저격이 원인(게르만인 vs 슬라브족) 독일 참전
        오스트리아,형가리vs슬라브족(러시아) 미국 영국 일본, 프
전쟁배상금 일(승전국) 공업지대확대  반면 쌀 부족으로 폭동
결과:  미 단작화 현상(쌀) 
        증산량보다 많은양을 수탈됨
        만주에서 잡곡을 대량수입(쌀증산 한국인 미곡 소비량 줄어듦)
1923 관세 철폐   -->>일본 자본의 조선진출 용이

1930. 민족 말살 통치
배경: 대공항 (미국~ 전세계)  
미국: 뉴딜정책(국가 토목공사) 임금- 소비
1931년 만주사변
1937년 중일전쟁(중국본토침략)
1938년 국가 총 동원력 발표 이후
1941년 진주만 선제공격 태평양전쟁 전시 동원체제

1932  농촌진흥운동- 일제가 진행
슬로건:  춘궁 퇴치 /차금예방/궁민을 위한 토목사업
            자작농지 설정사업및 소작 조정령
            1933 농가 경제 갱생 계획
            1934 조선 농지령 발표 (소작 기간:  최소 3년)
            1934년 산미 증식 계획 중단
남면 북양 정책; 남쪽은 면화를 북쪽에서는 양을(옷감원료)
 --->>병참 기지화 정착
북한지역: 비료 화학 시멘트등 중화학 공업을 주축- 군수공업 체제
1938년 국가 총동원령이후  전시 동원 체제
 황국 신민화 정책
 황국 신민 서사 암송
 신사 참배/궁성 요배/애국(강제)저축/일본어 상용
 창씨개명->> 거부하면 우선적노무 징용, 진학 취학 물자 배급 불이익
 민족문화탄압: 조선 동아 폐간 1940  조선어 학회 사건 1942
 진단학회활동 중단 1942  민족문화를 탄압
1938 국가 총동원 국민 정신 총동원 조선연맹
애국반 10戶
조선사상범 보호 관찰령(1936)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1941
인적 수탈 : 육군 지원병제1938.2  징용령(1939) 강제
학도 지원병1943  강제 징병제도 실시  1944
정신대:
물적수탈:  공출 1941  배급 1941


제3차 조선 교육령 1938
국어 국사 수의과목(선택)
1941년 제3차 조선 교육령 일부개정 소학교->>국민학교
제4차 조선 교육령 1943
조선어 조선사가 교육과정에서 완전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