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역의 설치:
5세기 말 신라의 소지 마립간 시기에 경주에서 지방으로 통하는 관로를 수리하고 각 지역에 우역을 설치하였다,
우역설치는신라가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지방 통제 수단중 하나인 교통로를 확보한것이다
교통 통신의 우편의 역사
신라 - 소지 마립간 우역에 수도- 지방까지
고려 - 역참제도 역전지급- 역의 경비
병부 관할
조운제도 - 호부 관할
각 지역- 조창 (해변/하천)
경창
좌창- 녹봉
우창- 국용(왕실과 관청의 경비)
조선 - 역원 제도 30리마다 역(경국대전) 12km
역장 - 역리 역졸 역마 역전 지급
병부 관할 승여사
파발제 참이 설치 역이 쇠퇴
봉수제도
밤 횃불, 낮에는 연기 - 군사통신
무비사 병조 관찰사 병마사 수군절도사 수령
목멱산(남산) 5개의 봉수 대 신량역천
봉수군 간망군 해망인
1597 임란중: 파발 제도 보완
공조- 관할 부서 말-기발 25리 보발 30리마다 참에서 교대하였다
조선의 조운제도
조창---경창 호조
평안 함경 제주 (잉류)
15세기 관선 16세기 이후 사선 (경강상인)
전운사- 정부의 조운 운영
갑오개혁- 조세의 금납화로 점차 소멸
우편업무의 역사
우정국과 홍영식
1884 우정총국 총판 홍영식- 반역죄로 죽음 갑신정변 후 중단
1895 우편사무 재개 -우체사
1900 만국 우편연합 국제우편업무 시행
홍영식
1881 조사 시찰단- 신사유람단
1883 보빙사 미국 방문
1960.. 1 우편법 우편물 운송법 제정
1962 규격봉투 제도
1970 우편번호제 실시
2000.5 우편번호제 개편- 도로명
2000.7 우정사업본부 설치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러나라의 성장 (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 (0) | 2021.06.14 |
---|---|
구석기/신석기/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생활모습은? (0) | 2021.06.14 |
노태우정부 6공화국/북방외교/광복이후의 경제/통일을 위한 노력 (0) | 2020.11.29 |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대한민국 역대대통령/개헌 (0) | 2020.11.29 |
제주4.3사건/농지개혁/북한의 남침/6.25 (0) | 2020.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