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1920년대 국내/국외 항일운동/임시정부/개헌

반응형

1920년대 국내/국외 항일운동/임시정부/개헌

 

1920 국내 항일 운동 
1920 보합단 평북 의주 동암산 
       천마산대 최시흥  한말 군인 평북 천마산 
       구월산대 이명서  황해도 구월산  게릴라 전
1926 6.10 만세운동 
       순종의 인산일 사회주의 세력/ 학생운동세력 
       사회주의 세력은  사전 발각
       민족유일당 운동(신간회 창립)의 계기 
1929 광주 학생 항일 운동 
11월 발단: 일본인 남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희롱- 
한국 남학생과 일본인 남학생 충돌---한국 학생 구속
전국으로 확대( 동매 휴학 및 가두시위) 
 ---->> 신간회에서 조사단 파견


국외 항일운동
1920.6.7 봉오동 전투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1920.10.26 중국 마적- 훈춘사건을 조작  간도지역에 진입
청산리 대첩: 김좌진 (북로 군정서)등 연합부대(대한독립군…)
백운평 완루구 천수평 어랑 촌등  10여 차례 
192010~ 간도 참변(경신참변)
1921 서일 등 대한독립군단--->. 자유시 참변
내용: 자유시로 이동 (밀산) 서일 김좌진 홍범도
독립군(적색-러시아 혁명군)이 도와줌
승리한 적색 군은  독립군의 무장해제 충돌 


1923~25  3부(행정 군사)
             참의부 1923-임정 직할(육군 주만 참의부)
             정의부 1924
             신민부 1925-김좌진 소련에서 돌아온 독립군  성동 사관학교 설립
1925 미쓰야 협정 (장쭤린 장쭤린) 만주 군벌과 미쓰야가
3부의 통합운동  
1928 혁신 의회(개인)
1929 국민부( 단체 본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내 한성정부 - 정통
연해주 - 대한 국민의회 흡수
상해 - 임시정부 상해에 두고 대한민국 임시정부(통합)
1919.9 임시의정원  국무원  법원 한국 최초의 삼권분립
민주 공화 정체의 정부
1919.7 연통제 임시정부와 국내를 연결 비밀 행정
1921 와해됨
임, 정 이륭양행 - 만주
군자금 백산상회 - 부산
미국 구미 위원부  korea review
기관지 독립신문 박은식의 독립운동 지혈사   


임시정부의 이동
1919 상해 -> 1932: 윤봉길 의거 (프랑스 조계지 압박)
1932~ 40   이동 각 지역을 이동
1940~ 중경 충칭 시대
조소앙의 삼균주의_3가지의 균등
---->>>정치 경제 교육균등을 표방
향후 독립 후 1941년 대한민국 건국강령 발표

1차 개헌
1919 대통령 지도제
       1대 이승만 대통령- 친미외교 ---->>국무총리 이동휘 탈퇴
1923 국민대표회의 결렬
       창조파-신채호
       개조파-안창호
1925 이승만 대통령 탄핵  
       2대 대통령  박은식
2차 개헌
1925 국무령 중심 내각책임제
1927 3차 개헌
국무위원 집단지도 체제
1940 중경(충칭) 4차 개헌
주석 중심제--김구
1944 5차 개헌    주석/부주석 (김구/김규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