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애국 지사들의 항일 의거

반응형

애국지사들의 항일의거
의열단

1919  만주 길림 --->> 김원봉/윤세주
강령 : 1923  신채호   조선혁명 선언 --->> 민중의 직접적 폭력활동
의열단관련 의거
1920 최수봉 밀양 경찰서 폭파의거  
       박제혁 부산 경찰서 투폭의거
1921 김익상 조선 총독부 투폭 사건
1922 오성륜 김익상등의 황포탄 의거  (일본군 대장 나타카 저격 기도)
1923 김상옥 종로경찰서 투폭사건
1924 김지섭 도쿄 궁성의 이중교 니 주바 시 투폭
1926 나석주 동양 척식 주식회사  조선 식산 은행 투폭 의거
1932 조선혁명 간부학교를 설립 *개별 의열 활동의 한계인식--- 황푸 군관학교(중국) 입학 후에 설립

 

한인애국단
1931 상해  김구선생 조직
1932 이봉창 일본 도쿄 일왕 투폭
1932 윤봉길 상하이 홍커우 공원 의거- 일본 고관 살상
       시라카와 의거이후 사망
 ->> 중국 장제스(국민당)  대한민국 임시정부 적극 지원
 ->> 임정 상해를 떠나 각 지역을 이동


1924 김창숙 다물단-무정부주의적 테러단체  1919 1925 유림 단사 건 관련
3.1 이후 강우규 노인단  -  사이토 총독에게 폭탄 실패 처형 
조명하- 일본 국왕 장인 폭사/백정기-상해 주중 일본공사 사살 실패
양환 친일파 민원식 사살


1931 일본의 만주사변 -->>한중 연합군 결성
1929 조선혁명군: 양세봉 +중국 의용군  남만주
1932 영릉가 전투 싱징 성전투 승리


1930 한국 독립군 지청천+중국 호로군 북만주
1931 쌍성보 경박호 사 도하자 동경성전투 승리 대전자령 전투

1935   민족혁명당 결성(의열단 세력) 
우익  지청천- 조선혁명당  해체 후 가담--> 탈당 (조선 혁명당 재건) 
        조소앙- 한국독립당  해체후 가담-->탈당 (한국 독립당 재건)
좌익  김원봉- 의열단 계열-------주도  -->> 조선민족 혁명당 개편 

 

김구 임정 세력- 민족혁명당 불참 ---->>독자적 정당- 한국 국민당


1937  중일전쟁 이후            전국 연합 전선 협회
        조선혁명당+한국독립당+한국 국민당(한국 광복운동 단체 연합회)
        조선민족혁명당---->> 조선 민족 전선 연맹 전국 연합 진선 협회
                                      조선민족 전선 연맹 산하 1938 조선의용대
                                      조선의용대- 중국 관내 최초 조선인 무장부대
조선의용대(김원봉, 윤세주)
김원봉-본대는 1942  한국광복군에 편입
윤세주-화북지대---사망 후 조선독립동맹 편입-->>조선의용군으로 개편


한국광복군 결성  1940  충칭(중경) 지청천(이청천)을 총사령관 이범석을 참모장  (충칭의 임시정부)
한영 군사협정 1943  10여 명이 비전투요원 미얀마(버마) 전선 등에 참전
(암호분석 포로 심문 통역 및 심리전)
국내 진입 작전 준비 미국 OSS 국내 진입계획- 일제의 항복으로 미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