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정문서/고대국가유물/원효/의상/교종/선종/설총/주자감
민정문서
신라장적 신락 촌락문서 통일신라시기
1933 일본 동대사(도다이지) 정창원(쇼소인) 발견 일본왕실의 보물창고
대상: 서원경- 청주 부근의 사해점촌, 살하지촌 등 4개의 촌락
목적: 국가의 부역과 조세기준 마련을 위해 작성
작성: 촌주가 3년마다 작성
촌락의 명칭, 호구 수, 인구수, 토지 면적, 가축(소·말)과 뽕나무 수 등이 상세하게 기록됨
※ 인구(丁) : 연령과 성별에 따라 6등급으로 분류
호 戶 : 인구의 많고 적음에 따라 9등급으로 분류 상상호~하하호
※ 토지의 종류
1) 연수유전(답) : 농민들이 경작하는 토지이며, 성덕왕 때 지급된 정전으로 추정됨
2) 촌주위답 : 촌주에게 지급된 토지
3) 내시령답 : 내시령에게 지급되었던 토지
4) 관모전(답) : 관청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지급되었던 토지
5) 마전: 옷감을 위한 공동 경작지
통일신라의 문장가
강수 : 가야출신 6두품, 외교문서 작성(답 설인귀서, 청방인문표 등)에 능함 *당나라 장수* 설인귀
불교를 세외교(世外敎: 세상과 동떨어진 종교)로 규정하여 비판함
설총 : 이두를 체계적으로 정리 원효의아들-설총 모란-장미(간신),할미꽃(충신)
‘화왕계’를 지어 국왕의 유교적 도덕 정치를 역설 신문왕에게
김대문: ‘계림잡전’, ‘고승전’, ‘화랑세기’, ‘한산기’ 저술→신라 문화를 주체적으로 인식함
저서는 현재 전하지 않으나 삼국사기에 인용 자료로 수록되어 있음
최치원: 신라 하대인물
6두품 출신, 당의 빈공과 합격-외국인대상시험(교류는 없음)
신라로 돌아와 진성여왕에게 시무 10여조를 올려 유교적 정치이념을
실현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은둔
대표적인 저서로 ‘계원필경’(‘토황소격문’ 수록), ‘사산비명’ 등이 있음
제왕연대력
교종: 불경이해 / 왕실귀족중심중대
선종: 참선수행 / 지방 호족 (하대) 불립문자 직지인심 견성오도 즉시성불
통일신라
원효
설氏-6두품 (설총)원효의 아들 成佛-성불 일심사상 화쟁사상
불교 • 법성종 개창, 일심사상을 바탕으로 화쟁 사상 주장→불교 통합 노력,
일체유심조(해골물)깨달음 모든것이 마음속에 달렸구나-당유학포기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무애가, 아미타 신앙) 정토종 아미타 부처님-극락 (사후)
‘대승 기신론소’, ‘십문 화쟁론’, ‘금강 삼매경론’, ‘화엄경소’ 탄비량론.등의 저서를 통해 불교의 사상적
이해 기준을 마련함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관세음 보살이시여 살아있을때 복을주시고 아미타불에 귀의할테니 극락으로 보내주세요
의상
김氏 진골 당유학파 / 문무왕 자문
화엄종을 개창하여 왕권 전제화에 기여함 당의 '지엄' 가르침을 받음
일즉다 다즉일(하나가 모든 것이요, 모든 것이 하나다) 사상(저서인 ‘화엄일승법계도’에 잘 나타남),
현세 구복적인 관음 신앙을 중시함 관세음보살-현세구복 ( 아미타+)
부석사, 낙산사 등의 여러 사찰을 창건함
① 혜초는 인도와 서역을 순례한 후 ‘왕오 천축국전’을 저술
② 원측은 당의 현장법사에게 유식학을 배운 후 자신의 학문을 발전시켰다. 원측의 제
자들을 서명학파라고 한다.
③ 진표는 김제 금산사를 중심으로, 미륵불이 지상에 와서 이상사회를 건설한다는 믿
음을 가르쳤다. 법상종
④ 자장은 선덕여왕에게 황룡사 9층 목탑 건립을 건의
고대국가의 유물-표참조
공무원 시험공부할때 공부하던 노트필기내용입니다
언제나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고 싶어 작성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의 경제정책/목조건축물/전시과/조세제도/공음전 (0) | 2020.10.24 |
---|---|
무신정권기 1170 경인년~1270 개경환도~고려말/신진사대부 (0) | 2020.10.24 |
북방민족 거란과의 관계 /여진/몽골/원간섭기/공민왕 (0) | 2020.10.24 |
고려지방행정제도/군사제도(중앙군/지방군)~무신정변/묘청 (0) | 2020.10.21 |
후삼국시대~고려전기/태조왕건/광종/성종의 업적 (0) | 2020.10.20 |